뜨거운 녀석들 영국영화가 이렇게 배꼽빠지고 재미있을 줄이야 이제야 알았습니다.
2007. 6. 23. 18:08ㆍ핫이슈
반응형
그러나 분위기는 진지하여, 헐리웃에서 유행하는 코미디 퍼레이드식 패러디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 게다가 주연 사이몬 페그에게 탁월한 능력을 얹어줌으로써 진지함을 뒷받침한다. 헐리웃 영화, 특히 <배드 보이즈>나 <폭풍속으로>를 노골적으로 인용하는데도 가벼워 보이지 않고, 오히려 예찬하는 듯한 분위기다.
이런 헐리웃을 적극적으로 인용하여 기성인들의 제도와 편견을 타파하는 모습이 아주 가관이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들의 아버지뻘 연배되는 사람들, 즉 노인들의 수난이 영화의 주제같을 정도다. 노인들로 구성된 보수적인 단체와의 대결이 영화의 주제인 것이다. 그로인해 할머니 할아버지 가릴 것이 없이 폭력에 노출되며 가차없는 벌을 받는다. 이 부분이 경노사상을 바탕으로 가족과 연인의 가치를 수호하려는 헐리웃과 차별되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 영화에서 끝내 남는 것은 버디 영화의 궁극인 애정하고 구분이 잘 안되는 '우정'뿐이다.
시골의 한 작은마을의 비뚤어진 질서에 대한 책임을 노인들에게 지우는 건 일면 잔인하게 보인다. 정치적 성향과는 별개로 세대로 대결하려는 모양새는 노인들에게 강한 압박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아마 기성인에 대한 불신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전통에 미련이 없다는 듯 외부세력(헐리웃)의 구성을 과감하게 빌려오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