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5. 31. 14:30ㆍ핫이슈
감독인 소피아 코폴라는 혁명에 관심 없다. 그리고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여자들, 또는 소녀들, 혹은 그 경계에 있는 누군가도 사회와 정치와 혁명에는 관심이 없다. 소피아 코폴라는 언제나 개인의 고독에 주목한다. 전작인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에서 느낄 수 있었던 낯설고 거대한 장소에서의 단절감과 고독은 <마리 앙투아네트> 에서 그대로 재현된다.
이 매우 프라이빗한 주제의식과 스타일리시한 연출력이 <마리 앙투아네트>를 흔해빠진 시대극에 도전하는 락 앤롤 마인드의 영화로 만드는 이유다. 그리고 이 영화로 오스카 3관왕을 이뤄 낸 전설의 의상감독 밀레나 카노 네로는 이 18세기 궁정 드라마를 모던한 청춘 영화로 만들고자 한 감독의 의도를 완벽하게 소화해냈다.
프랑스 과자 마카롱에서 따 온 핫 핑크와 골드 옐로우, 피스타치오 그린 등의 컬러는 로코코 스타일이라 이름지어진 당시의 사치스런 보석과 장신구 없이도 화면을 화려하게 물들인다. 또한 작고 사랑스러운 리본과 프릴을 사용하고 주얼리는 간소화해 모던함을 강조했다.
소녀는 낯선 곳에 떨어졌고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한 채 성장하고 있으며 그 허전한 마음의 반대급부로 패션에 열광한다. 이것은 마리 앙투아네트의 이야기이면서 영화계의 대부인 아버지 프란시스 코폴라의 배경을 등에 업고 자란 소피아 코폴라 자신의 이야기고, 헐리우드의 화려한 아역스타로써 성장해 온 커스틴 던스트의 이야기이기도 하며 또 현대사회의 황량함 속에서 커 나가고 있는 소녀, 바로 우리들의 이야기다.
칸느 영화제에서 공개된 이 영화는 프랑스 관객들의 야유를 받았고 외국 언론들로부터 영화를 볼 돈으로 차라리 케이크를 사 먹으라는 혹평을 면치 못했으며 우리나라의 모 기자는 록 음악을 틀 거면 차라리 에이브릴 라빈을 틀지 그랬냐고 비꼬았다. 자고로 논란이 이는 영화는 스스로 보고 판단해야 하는 법.
하지만 적어도 패션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미 그 자신이 패션계의 셀러브리티인 소피아 코폴라와 헐리웃 최고의 패션 아이콘 커스틴 던스트의 만남(게다 이 둘은 친구라지), 최초로 영화에 등장하는 실제 베르사유 궁전과 18세기의 화려한 로코코 스타일 등 이 영화의 매력적인 요소를 무시하기는 힘들 듯하다.